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랜 시간동안 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을 쓰질 못했는데요.
방문자가 없어도 시간을 내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 글을 쓰려고 합니다.
참고로 대부분의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풀어 썼습니다.
질문이 있다면, 덧글로 질문해 주세요. 늦더라도 꼭 답변드리겠습니다.
컴퓨터란 무엇인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독자분들이 보고 계시는 스마트폰, 랩탑, 데스크탑 등이 있습니다. 물론 TV나 공유기도 컴퓨터에 속하지요. 오늘날에는 예전에 비해 정보기기 의존도가 매우 높아졌습니다. 현재는 모든것이 연결된 시대를 준비하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컴퓨터의 역사
컴퓨터는 계산기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처음에는 오늘날의 계산기 처럼 몇십자리를 계산할 수 있는게 아닌 불과 몇자리라고 합니다. 그러다가 개선과 발전을 여러차례 한 결과, 사칙연산을 포함하여 여러 함수들을 계산하는게 가능해 졌고, 더 많은 숫자를 쉽게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혹시, 독자 여러분께서는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 보신적이 있나요?
이 영화는 실제로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로, 주인공 앨런 튜링이 전쟁에서 적의 암호통신을 무력화 하기 위해 에니그마 암호를 해독하려고 노력합니다. 여기서 전자 계산을 통해 암호해독을 했던 컴퓨터가 있습니다.
일명 '튜링 기계' 라고 하는것 입니다. 실제로 존재했지만, 군사적인 이유로 많은 정보가 폐기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된 애니악 계산기가 만들어 졌고, 그래픽 출력과, 고도의 기술이 접목하여 오늘날 잘 알고있는 그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가 생겼습니다.
컴퓨터의 작동
독자분들께서는 '컴퓨터는 0과 1로 되어있습니다.' 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네 그렇습니다. 잘 알려진 0과 1로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숫자 0과 1이 들어가있는 뜻은 아닙니다.
0은 False(거짓)를 의미하며 전기적 신호가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반대로, 1은 True(참)를 의미하여 전기적 신호가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이 0과 1만 있는 것을 이진법(또는 이진수) 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전기를 사용하여 이진법 계산기를 만들 수 있었고, 오늘날에는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간단한 계산기였으나, 오늘날의 컴퓨터는 매우 복잡하게 작동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여러 트랜지스터와 전기를 이용하여 아주 기초적인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로 만든 후, 컴퓨터의 구조에 따라 전기 신호를 만들고, 많은 하드웨어를 연결한 후,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운영체제 등)를 읽어들이기 시작합니다.
[참고]
'Report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chost.exe CPU 점유율 문제 해결방법 (2) | 2016.06.19 |
---|